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table
- 목록 태그
- li 태그
- 패캠
- 프론트엔드 과정
- form 텍스트입력
- u 태그
- html 기본 태그
- form 문법
- br 태그
- ol 태그
- 네카라쿠배
- 공부 기록용(비공개)
- 소프트웨어 장인
- h1~h6 태그
- 네카라쿠배 팁
- img 태그
- 의문
- ATOM
- ul 태그
- 첫 시작
- HTML escape
- p 태그
- strong 태그
- 뭐임마
- form 입력양식
- 왜?
- 공부 기록용
- 포기도 습관이 된다.
- 뭐
- Today
- Total
목록프로그래밍 언어 외 모든 것/기초 공부 (7)
끈기의 힘 : 뉴비에서 풀스텍으로
## 일반적으로 프로젝트시엔 '파이참' 에디터 사용 / 연습할 땐 '주피터 노트북' 사용이 좋다. 1. https://ieworld.tistory.com/18 - 주피터 노트북 커널 죽는 문제 해결. (공부용으로 좀 급해서 말도 없이 링크 가져온 점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무슨 문제 있음 바로 내리도록 하겠습니다.) 주석 제끼고 dir = 'c:/~~' 따옴표 사이에 원하는 경로 적기. (주피터 노트북 첫 실행시, 디폴트 경로 지정하는 법) \(역슬래시)를 /로 바꿔줘야 한다는 점 꼭 기억하기. - 굳이 run 누를 필요 없이, shift + enter 누르면 실행됨. - 단축키 : a (선택된 셀 상단부에 cell 추가) b (선택된 셀 하단부에 cell 추가) - 각 cell마다 In 하고 [] 대괄호..
예를 들어, width 200px의 박스에 50px의 패딩 값을 부여하면, CSS는 기존 박스의 width 값을 유지하기 위해 50px만큼의 크기를 자동적으로 늘리게 된다. 그래서 box의 크기는 200px 유지 + 추가된 padding 50px => 250px이 된다. 그래서 box를 만들다보면 화면에서 다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box-sizing:border-box 값을 주게 되면 CSS에게 다음과 같이 명령할 수 있다. "내가 box에 padding값을 주더라도 box의 크기는 늘리지 말아줘."
Git의 필요성 - 코드가 긴 경우에는 파일의 히스토리를 알고 있어야 한다. 처음에 뭘 작성했는지, 나중에 뭘 추가했는지, 변경 내역 등을 알고 있어야 하는데 이럴 때 git을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 내가 원하는 파일의 변경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git은 programming에서 주로 사용되는 도구다. - text 파일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excel, image, song 등등 다른 파일 형식에도 사용할 수 있다.(git 시스템은 파일을 binary format(0101010 같은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 - git은 어떤 파일이든 수정된 내역을 알 수 있다. - code에 주로 사용되는 도구이지만, 다른 형식의 파일도 변경 내역을 추적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 한마디로, ..
초보자에게 가장 확실하고 빠른 방법. (nuggy님께 무한한 감사를) prettier : nuggy875.tistory.com/110 VSCode Prettier 적용 안 되는 오류 올해 어느샌가부터 VSCode에서 저장하면 자동으로 코드를 정렬해주는 Prettier가 작동하지 않았다. 귀찮아서 그냥 쓰고 있었지만, 원인을 알아내고 말았지.. VSCode > Preference (cmd+,) 들어가서 'Default For nuggy875.tistory.com 그 외, community material theme : VS Code 디자인 세팅 material icon theme : html, css, java 등 어떤 언어나 프레임워크 등의 대표 아이콘으로 변경해주는 귀여운 확장자 Emmet Live K..

가끔 style태그를 적용시 태그와 속성 속성값의 색이 모두 하얀색이 되는 경우가 있다. 처음엔 별 신경 안 썼지만, 코드 내용이 길어지다보니 신경이 쓰이기 시작했다. 그래서 구글에 쳐보니 okky에 나와 같은 증상을 겪는 분의 글을 보고 방법을 알게 되었다. 스타일 닫힌 태그 아무 곳이나 띄어쓰기 해놨다 돌려놓으면 얘네들이 인식을 한다. 염병하네 하다하다 화가 극에 달해, 결국 비쥬얼 스튜디오 코드로 갈아탔다. 훠어어어얼씬 좋다. 와 사랑합니다 개발자님들!! 아니 어! Emmet 기능이 둘다 되면 당연히 비쥬얼이 최고지 이거지 임마! 어! 아오 1. 한국어 기능까지 있다. 이야 완-벽하다 이야 이거제~(컨트롤+쉬프트+X 누르면 확장메뉴로 갈텐데 거기서 'korean language' 검색 후 설치만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