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패캠
- 공부 기록용(비공개)
- 뭐임마
- HTML escape
- u 태그
- 공부 기록용
- strong 태그
- 의문
- 왜?
- li 태그
- h1~h6 태그
- 프론트엔드 과정
- 목록 태그
- ol 태그
- 네카라쿠배
- 포기도 습관이 된다.
- img 태그
- ATOM
- 뭐
- table
- html 기본 태그
- ul 태그
- 첫 시작
- form 입력양식
- form 문법
- br 태그
- p 태그
- 소프트웨어 장인
- form 텍스트입력
- 네카라쿠배 팁
- Today
- Total
끈기의 힘 : 뉴비에서 풀스텍으로
[생활코딩/2015 HTML 수업 : WEB1 아님! 혼동 주의!] Form 배우기. 입력 양식? 텍스트 입력? 본문
[생활코딩/2015 HTML 수업 : WEB1 아님! 혼동 주의!] Form 배우기. 입력 양식? 텍스트 입력?
쓰리별 2021. 2. 22. 18:17링크 : opentutorials.org/course/2039/10944
입력양식 - form - 생활코딩
입력양식 - form 2015-12-06 10:16:50 예제 아이디 : 비밀번호 : 주소 : 등장시기 html2
opentutorials.org
1. 입력 양식 (로그인 양식을 만든다고 했을 때!)
: <form> 태그를 사용하기 전에
ex) <p> 아이디 : <input type="text> </p> ★ <input>은 닫는 태그 읎다!
<p> 비밀번호 : <input type="text> </p> 근데 이렇게 설정해놓으면
패스워드가 다 보여지기 때문에 input 태그에서 type 속성을 "password"로 설정해줘야 한다.
그렇게 해야!! 패스워드에 무언갈 입력해도 까만콩으로 보안된다.
이제 웹 브라우저에서 입력하여 웹 서버가 있는 컴퓨터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전송해야 할 버튼을 만들어보자!
<input type="submit"> 일반적으로 '제출하다.'란 의미니까 type 속성을 'submit'으로 써주면 버튼이 생성된다.
★ 이제 중요한 건 우리가 입력한 정보들이 과연 '어디'로 전송될 건인지가 정해지지가 않았다!
이때, <form> 태그를 사용하자.
ex) <form action="http://localhost/login.php">
<p> 아이디 : <input type="text"> </p>
<p> 비밀번호 : <input type="password"> </p>
<p> 주소 : <input type="text"> </p>
<input type="submit">
</form>
★ 어디로 보내야 할 것인지! 할때 <form> 태그의 action 속성 "이곳에 URL을 적어주자. "
뭐 예를 들어, 웹사이트를 만드는 상황에서 누군가 로그인 정보는 http://localhost/login.php 여기로 보내게 해주세요! 라고 했다면 위처럼 설정해주면 된다.
★ 근디,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뭐냐? '아이디'와 '주소'를 전송하는 것에서 <input> 태그의 type 속성이
둘 다 텍스트이기에 전송된다 하더라도 데이터를 구분하기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이 각각의 입력하는 칸 즉, '컨트롤'이라 하는 칸에 각각의 이름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그럼 어떻게 이름을 설정해 주느냐? ★
ex) <form action="http://localhost/login.php">
<p> 아이디 : <input type="text" name="id"> </p>
<p> 비밀번호 : <input type="password" name="pw"> </p>
<p> 주소 : <input type="text" name="address"> </p>
<input type="submit">
</form>
<input> 태그의 'name'이란 속성을 사용해준다. 이름은 원하는 대로 지어도 되는 것 같다. 한글은 아마 안될듯?
그래서 만약, 아이디의 컨트롤에 1, 비밀번호에 2, 주소에 3을 입력했다면 연동된 주소는 위 사진처럼 된다!
앞의 로컬호스트/로그인.php는 <form>의 전송될 주소와 id pw address의 값이 다 나타나게 된다!!! 신기
2. 텍스트 입력
: 사용자로부터 텍스트를 입력받도록 하는 폼 태그에 대해 알아보자.
★ <input> 태그 사용 시, name이란 속성을 사용해야 서버쪽에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그래서 꼭 name을 설정해줘야 한다잉! 만약, 이 컨트롤 칸에 입력하지 않아도 특정 값이 나오도록 설정하고 싶다면 <input> 태그에서 value 속성을 사용하면 된다. 즉, <input name="id" value="default value"> 라고 선언하면, 그 컨트롤 칸에 "default value"란 값이 적혀 있는 채로 나타나게 된다.
★ 만약 <form> 태그에서 여러줄을 입력받고 싶은 컨트롤을 만들고 싶다면 <textarea> </textarea> 태그를 사용한다!
(form-input의 부모-자식 관계처럼 / form-textarea)
textarea 태그의 속성인 cols(column : 열)와 rows(줄)를 사용하여 컨트롤의 크기를 넓힐 수 있다.
다만, <input> 태그와의 차이점이라 한다면 '특정 값'을 처음부터 컨트롤에 보이게 하고 싶다면 value란 속성을 사용하는 게 아니라 <textarea> </textarea> 태그 사이에 적어주면 그 적힌 값이 기본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ex) <form action="">
<p>text : <input type="text" name="id" value="default value"></p>
<p>password : <input type="password" name="pwd" value="default value"></p>
<p>textarea :
<textarea cols="50" rows="2">default value</textarea>
</p>
</form>
'프로그래밍 언어 > HTML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코딩/2015 HTML 수업 : WEB1 아님! 혼동 주의!] Form 배우기. 선택? (dropdown list / radio / checkbox) (0) | 2021.02.22 |
---|---|
[인프런/생활코딩_HTML 기초] 표 만들기? 폼 만들기? (0) | 2021.02.21 |
[인프런/생활코딩_HTML 기초] 웹? iframe 태그? 이스케이핑? (0) | 2021.02.21 |
[생활코딩/WEB1] 기록 ~ 1-17 (0) | 2021.02.18 |
[생활코딩/WEB1] 기록 ~ 1-12 (0) | 2021.02.17 |